본문 바로가기
건강한삶/건강

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생긴 경우 할 수 있는 것들

by Luna_Tv 2024. 12. 30.
반응형

 PTSD(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) 증상을 겪고 있다면,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.  꼭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

건강 썸네일

 

집에 있는 약물을 아무거나 먹지 않기!  

 

1. 우선 확인해야 할 점

  • PTSD는 약물뿐 아니라 심리치료가 매우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. 집에 있는 약물을 임의로 복용하면 증상이 악화되거나,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.
  • 집에 있는 약이 무엇인지 확인해 보세요. 특히 처방받은 약이 아닌 경우, 함부로 복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2. 약물 복용 관련 조언

  • 진정제/수면제 : 만약 집에 처방받은 항불안제(예: 로라제팜, 알프라졸람) 또는 수면제가 있다면, 의사 처방에 따라 사용하세요. 단기적으로 불안을 줄이고, 수면을 돕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, 의사와 상의 없이 복용을 시작하거나 복용량을 조절하면 안 됩니다.
  • 진통제 : PTSD 증상에 진통제는 효과가 없습니다.
  • 항우울제(SSRI) : PTSD 치료에는 항우울제가 장기적으로 효과적입니다(예: 서트랄린, 파록세틴). 하지만 이는 반드시 의사 처방이 필요하며, 갑작스럽게 시작하거나 중단하면 안 됩니다.

 

3. 비약물적 대처법

PTSD 증상이 심할 때, 약물 외에도 아래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:

  • 심호흡과 명상 : 천천히 숨을 들이쉬고 내쉬며 긴장을 완화합니다.
  • 안정적인 환경 : 밝고 안전한 장소에서 편안하게 쉬세요.
  • 지지 체계 : 신뢰할 수 있는 사람(가족, 친구)과 대화를 나눠 감정을 표현하세요.
  • 피해야 할 것 : 알코올이나 카페인 섭취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니 피하세요.

 

4. 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

PTSD는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치료를 고려해 보세요:

  • 심리치료: 노출치료, 인지행동치료(CBT), EMDR(안구 운동 탈감작 및 재처리 요법)이 효과적입니다.
  • 약물치료: 항우울제(SSRI, SNRI)나 항불안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5. 위급 상황일 경우

PTSD로 인해 극심한 불안, 공황, 또는 극단적인 생각이 든다면 즉시 도움을 요청하세요.

  • 정신건강 상담 전화: 1577-0199
  • 위기 상담 전화: 1588-9191
  • 응급 상황: 119 또는 가까운 병원으로 방문하세요.

 

 

 

 

약물은 복용하기 전에 꼭 의사와 상담하셔야 합니다.
저는 당분간 뉴스 보는걸 중단하려고 합니다. 

 

고인들의 명복을 빕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