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건강한삶/음식건강

마음이 허할 때 고기를 찾게 되는 이유, 과학적 관계가 있을까?

by Luna_Tv 2024. 12. 26.
반응형

음식 정보


크리스마스이브날에 갑자기 늦은 밤에 고기를 구워 먹다가 드는 생각이었습니다. 왜 마음이 허할 때 고기를 먹으면 속이 찬 느낌이 들까?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감정적이고 신체적인 경험인 듯하여, 이에 대한 의학적 또는 생리학적인 이유를 찾아보고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스테이크 이미지 ⓒfreepik

 

1. 단백질과 포만감

  • 고기에는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합니다. 단백질은 소화가 느리게 진행되며, 식후 오랜 시간 포만감을 제공합니다.
  • 지방은 또한 포만감을 강화시키고, 몸이 에너지가 충만하다고 느끼게 합니다. 이로 인해 "속이 찬다"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.

2. 세로토닌 증가

  • 고기, 특히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은 세로토닌 생성을 돕는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을 제공합니다. 세로토닌은 기분을 안정시키고, 마음의 평온함을 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  • 이로 인해 고기를 섭취했을 때 기분이 안정되거나 만족스러운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.

3. 칼로리와 에너지 공급

  • 고기는 고열량 음식이기 때문에 에너지 공급원이 됩니다. 배고픔이 해소되면서 몸이 안정을 느끼고, 정신적으로도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.

4. 감정적 연결

  • 고기를 먹는 행위 자체가 과거의 특별한 경험, 가족 식사, 축제 등 긍정적인 기억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감정적인 연결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.

    스테이크 이미지 ⓒfreepik


● 과학적 증명이 있을까?

  • 특정 음식이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효과는 연구된 바가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트립토판이나 고열량 음식이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존재합니다.
  • 하지만, 고기를 먹었을 때 느껴지는 "속이 찬 느낌"은 생리적,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. 사람마다 이런 경험이 다를 수는 있지만, 비슷한 만족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습니다.

 

● 음식과 감정의 상호작용 연구

 

  • 음식 심리학 연구 : 음식의 맛 지각은 감각적 정보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적 특성, 즉 감정 상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. 이는 개인의 마음 상태가 음식 선호도와 섭취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.

  • 위로 음식(Comfort Food) 연구 :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, 많은 사람들이 특정 음식을 위로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, 이러한 음식 섭취가 정서적 안정에 기여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.

  • 육류 섭취와 정신 건강 : 일부 연구에서는 육류 섭취가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 예를 들어, 육류에 포함된 영양소가 뇌 기능을 지원하고 기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.
반응형